밤중 수유와 젖병은 언제부터 끊어야 할까요?

젖병과 작별해야 하는 이유 아이가 한 손에 젖병을 들고 앉아 원샷하는 모습을 본 적 있으신가요?

그 아이는 사실 이미 컵으로 마실 수 있는 시기가 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론상으로는 6개월만 지나도 젖병 대신 컵으로 마실 수 있지만, 현실에서는 아이가 젖병에 더 큰 편안함을 느끼기 때문에 젖병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젖병을 빨며 잠드는 습관이 있는 경우, 젖병에 더 집착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왜 아이가 좋아하는 젖병을 끊으라고 할까요?

그 이유는 치아 건강 때문입니다.

분유의 당분이 치아와 자주 접촉하면 충치의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또한, 3~4세 이후까지 젖병을 떼지 못할 경우 치아 배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젖병으로 섭취하는 경우 양 조절이 어려워 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돌 이후에도 젖병으로 많은 수분을 섭취하면 낮에 식사량이 줄어들고 성장 발달에 중요한 영양소를 놓칠 수 있습니다.

9~10개월 이후부터는 중요한 영양소를 씹어 먹는 음식에서 섭취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젖병을 끊는 방법으로는 하루에 한 번씩 젖병 사용을 줄이면서 컵으로 바꾸는 방법,

낮 시간부터 컵으로 마시게 하고 점차 자기 전 수유까지 컵으로 대체하는 방법,

혹은 한 번에 모든 수유를 컵으로 바꾸는 방법이 있습니다.

엄마와 아이의 성향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여 시도해보세요.

몇 개월 정도 늦는 것은 괜찮지만 아이들은 이미 준비되어 있으니 엄마가 겁먹을 필요는 없습니다.

때로는 아이가 의외로 쉽게 적응하는 경우도 많아 걱정이 기우였음을 알게 됩니다.

과감하게 도전해보세요.

엄마와 아이의 통잠을 위한 밤중 수유 끊기 밤중 수유란 아이가 밤잠을 자는 중간에 모유나 분유를 먹기 위해 깨는 것을 말합니다.

낮에 이유식이나 수유를 충분히 먹어 밤에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었을 때 밤중 수유를 끊을 수 있습니다.

통잠은 일반적으로 밤에 6~8시간 동안 수유 없이 자는 것을 뜻합니다.

신생아 때부터 밤에 수유 없이 잘 자는 아이도 있지만, 대부분은 이유식을 시작한 후에 밤중 수유를 중단할 수 있습니다.

모유 수유 시간이 5분 미만이거나 분유 섭취량이 60ml 이하로 줄어들고, 수유 속도가 느려지는 경우라면 밤중 수유를 중단해볼 수 있습니다.

밤중 수유가 아이의 다시 잠들기 위한 수단이 되면 아이의 꿀잠을 방해할 수 있고, 식사량이 줄어들 수도 있습니다.

물론 중간에 밤중 수유를 중단했다가 다시 필요할 때도 있습니다.

15~18개월 이전에는 엄마와 아이의 수면을 위해 밤중 수유를 끊는 것이 권장됩니다.

밤중 수유 끊기 처방전

  • 이틀에 한 번씩 모유 수유 시간을 2분씩 줄여보세요.
  • 이틀에 한 번씩 분유량을 20~30ml씩 줄여보세요.
  • 분유량이 60ml 이하가 되면 완전히 중단해보세요.
  • 아이가 힘들어하면 잠시 중단하고 며칠 후 다시 시도해보세요.
  • 아이의 질병이나 컨디션에 따라 다시 밤중 수유를 할 수도 있습니다. 적절한 시기에 다시 시도하세요.

시기별 밤중 수유와 통잠

  • 0~1개월: 밤중 수유가 필요한 시기입니다.
  • 1~3개월: 일부 아이들은 통잠을 자기도 하지만, 성장 속도가 더디면 수유 상담이 필요합니다. 대부분은 밤중 수유가 필요합니다.
  • 3~9개월: 통잠을 자는 아이라도 성장 속도가 양호하면 밤중 수유 중단이 가능합니다.
  • 9~15개월: 대부분 밤중 수유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중단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 15~18개월 이후: 밤중 수유는 수면을 방해하므로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합니다.

Leave a Comment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