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성지방은 우리 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과다한 경우 동맥경화와 비만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중성지방은 음식에서 직접 섭취되거나, 탄수화물을 간에서 합성하여 만들어집니다.
과도한 탄수화물 섭취가 중성지방 축적의 주범이라는 점에서, 단순히 기름진 음식만 피하는 것이 아니라 탄수화물 섭취에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목차
중성지방의 구조와 생성 과정
중성지방은 화학적으로 글리세롤에 세 개의 지방산이 결합된 형태로, 이를 트리글리세라이드라고 부릅니다.
지방은 소장에서 리파제와 담즙산의 작용을 받아 소화되고, 이후 지방산 형태로 흡수된 뒤 다시 중성지방으로 합성됩니다.
또한 탄수화물이 간에서 중성지방으로 변환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지방을 적게 섭취해도 탄수화물을 과하게 먹으면 중성지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중성지방의 역할과 문제점
중성지방은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혈액을 통해 암죽미립 또는 지질단백질 입자 형태로 운반됩니다.
우리 몸에서 에너지가 필요할 때 중성지방이 분해되어 지방산이 산화되며 에너지를 공급합니다.
하지만 중성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되면 지방간이나 내장지방이 생기고, 이는 비만과 관련된 여러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혈중 중성지방 수치가 높아지면 동맥 혈관벽에 쌓여 동맥경화를 일으키며, 이는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따라서 중성지방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지방 섭취뿐만 아니라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고, 운동을 통해 에너지를 적절히 소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